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추천시스템
- 주식
- 기초
- Regression
- API
- 파이썬
- 선형회귀
- 프로그래머스
- 알고리즘
- python
- 코딩테스트
- tensorflow
- 연습
- Linear
- 딥러닝
- 회귀
- 머신러닝
- 가격맞히기
- 크롤링
- 흐름도
- CLI
- 게임
- 재귀함수
- 주가예측
- PyTorch
- DeepLearning
- 주식연습
- 코딩
- 주식매매
- 템플릿
- Today
- Total
목록코딩 (6)
코딩걸음마

플레이어가 주식 매매를 마치면 봇이 매수매도를 결정하고 주가가 변동됩니다. 실행시키면 호가장 처럼 생긴 DataFrame이 나오는데 호가창이라고 생각하고 한번 해보시면 됩니다. 모든 매매는 시장가 매매로 처리됩니다. import random import time import pandas as pd def cur_Price_list(board_start): return Price_list[board_start:board_start + 10] def cur_bid_ask_price(board_start): return bid_ask_price_list[board_start:board_start + 10] def Ai_buy(a): #매수 봇 global status global cur_bid_ask_pric..

DFS 알고리즘 - DFS는 그래프(정점의 수: N, 간선의 수: E)의 모든 간선을 조회한다. - 인접 리스트로 표현된 그래프: O(N+E) - 인접 행렬로 표현된 그래프: O(N^2) - 즉, 그래프 내에 적은 숫자의 간선만을 가지는 희소 그래프(Sparse Graph) 의 경우 인접 행렬보다 인접 리스트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search_object = 7 + 1 #개체의 수(vertex) + 0번 개체(임의) graph = [ [], # 노드 탐색은 1번부터 하므로, 0번에는 빈 리스트를 입력 [2,3], #1번과 연결된 개체 [1,4,5], #2번과 연결된 개체 [1,4,6], #3번과 연결된 개체 [2,3,5,7], #4번과 연결된 개체 [2,4,7], #5번과 연결된 개체 [3,7], ..